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결정성2

110. 진로성숙도 검사(CMI) ◾ 진로성숙도 검사는 진로선택과 관련된 태도와 능력이 어느 정도 발달해 있는가를 측정하는 검사이다. 하위척도로 태도척도와 능력척도가 있다. ◾ 태도척도 - 결정성 : 진로의 방향에 대한 확신 정도 - 참​여도 : 진로선택과정에 능동적 참여 정도 - 독​립성 : 스스로 진로선택을 할 수 있는 정도 - 성​향(지향성) : 진로결정에 필요한 이해와 준비 정도 - 타협성 : 선택과 현실의 타협능력 정도 ◾ 능력척도 - 자기평가 : 자신의 흥미, 성격 등을 이해하는 능력 - 직​업정보 : 직업세계에 대한 정보의 획득 능력 - 목표선정 : 합리적인 직업목표 선정능력 - 계​획 : 목표달성을 위한 계획 수립 능력 - 문제해결 : 진로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 능력 2023. 4. 20.
8. 크라이티스(Crites)의 직업상담 문제유형 ◾ 적응성 : 적응성과 관련해서 적응형과 부적응형으로 분류된다 - 적응형 : 흥미와 적성이 일치하는 경우 - 부적응형 : 흥미, 적성이 일치하는 분야가 없는 경우 ◾ 결정성 : 결정성과 관련해서 우유부단형과 다재다능형으로 분류된다 - 다재다능형 : 재능이 많아서 직업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- 우유부단형 : 흥미와 적성에 관계없이 직업을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 ◾ 현실성 : 현실성과 관련해서 비현실형, 강압형, 불충족형으로 분류된다 - 비현실형 : 흥미는 있지만 적성에 맞지 않는 경우 - 불충족형 : 자신의 적성수준보다 낮은 적성을 요구하는 직업을 선택하는 경우 - 강압형 : 적성 때문에 직업을 선택했지만 흥미가 없는 경우 2023. 4. 13.
728x90
반응형